본문
‘온고지신’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사전적인 의미는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이다. 이 표현은 역사나 문화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개념인데 나는 이 자주 듣는 성어의 가르침을 청렴에 논하려 한다.
전통적으로 공직자에게 청렴이란 주로 금품수수, 알선, 청탁 또는 향응 등을 하지 않는 것을 뜻해왔다. 이 의미는 공직자 개개인의 기본 자질을 대변해 줄 수 있는 매개체였으며 국민들 또한 청빈한 공직자, 근검 절약한 공직자 등을 추앙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이런 개인적 자질의 개념을 익혀서 청렴이나 반부패를 국가 발전과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 소인 사회적 자본인식으로 알아야 한다.
청렴과 반부패가 사회적 자본으로 확대되어 사회 모든 시스템에 부패없이 공정하게 기회를 제공한다면 정부가 공들인 공생 발전은 비로소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근래 들어 국민들의 부패를 인식하는 윤리 기준은 많이 높아졌는데 우리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즉 공직자들은 기존의 청렴, 전통적인 반부패를 기준으로 업무를 하고 책임을 물고 있다.
실제로 공직자들은 금품, 향응 수수, 뇌물은 청렴에 위배되지만 예산낭비와 재정 부실은 부패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제는 국민들을 이해시켜야 한다. 즉 법률상 부패행위 및 수뢰죄의 개념을 확대시켜 국민들의 법 감정에 부합하고 윤리적 기대치에 부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청렴과 반부패는 개인적인 공직자의 잣대의 기준으로만 쓰이기는 너무 아깝다. 더더욱 의미를 확대시키고 발전시켜 사회 전반 곳곳에 흡수시켜 국민 사회를 새롭게 디자인해야 한다. 현재 국민들에게 가장 신뢰받는 공무원 1위는 소방관이다. 청렴의 의미를 확대해보니 기쁘면서도 앞으로의 책임감 때문에 한쪽 어깨가 무거워진다. 하지만 우리 인천소방은 개인적 청렴과 사회적 청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 항상 어깨를 펴고 다니는 119가 되려 한다.